건강하고 능동적인 인터넷을 이용할 수 있도록 건전한 디지털 이용 문화를 조성합니다.
디지털 역기능 3대 이슈 쟁점과 과제
디지털 역기능 3대 이슈 쟁점과 과제
- 디지털 허위조작정보·혐오표현·성범죄 -
<목차>
I. 디지털 시대, 미디어의 영향력
II. 디지털 역기능 3대 이슈
1. 디지털 허위조작정보
2. 디지털 혐오표현
3. 디지털 성범죄
III. 대응과제
※ 작성 및 문의 : 디지털포용본부 AI윤리팀 이형주 주임연구원(hj.lee@nia.or.kr)
2022 지능정보윤리 이슈리포트 봄호(Vol.,3, No.1)
1. 2021년 사이버폭력 실태조사 결과와 의미(김봉섭_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 연구위원)
2. 국내 사이버폭력 예방 프로그램 현황과 앞으로의 전망(정여주_한국교원대 교수)
3. 해외 사이버폭력 대응 동향과 시사점(신윤정_서울대 교수)
4. 사이버폭력과 혐오표현(김민정_한국외국어대 교수)
5. 청소년 디지털 성범죄 현황과 대응(장근영_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선임연구위원)
문의 : AI윤리팀 김봉섭 연구위원(053-230-1366)
지능정보윤리 이슈리포트_겨울호(21.12)
1. 인공지능에 대한 회고와 2022년 전망 _ 김지선 전자신문 기자
2. 싸이월드의 귀환과 콘텐츠 이주권 _ 민경배 경희사이버대학교 미디어영상홍보학과 교수
3. 인공지능 교육의 필요성 _ 김자미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교수
4. 미디어교육 관련 법률 제정 동향 _ 배상률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청소년미디어문화연구실장
5. 인공지능 시대 사이버범죄 대응과 제언 _ 김기범 성균관대학교 과학수사학과 교수
지능정보윤리 이슈리포트_가을호(21.09)
1. 인터넷 도박에서 청소년을 구할 방법은? _ 조윤오 경찰사법대 교수(동국대학교)
2. 마인크래프트와 셧다운제 _ 전종수 문화콘텐츠학 박사('게임, 편견은 없다' 저자)
3. 인공지능은 정보화 역기능의 해법이 될 수 있을까? _ 김한성 선임 연구원(소프트웨어정책연구소)
4. 관종의 세계 _ 김내훈 문화평론가('프로보커터' 저자)
5. 디지털 포용 교육의 개념과 방법 및 에이전시 _ 조규복 수석 연구원(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)
지능정보사회 역기능 대응을 위한 우리의 준비
지능정보사회 역기능 대응을 위한 우리의 준비
- 전 국민 디지털 리터러시 역량 강화의 중요성 -
<목차>
Ⅰ. 지능정보사회의 디지털 역기능
Ⅱ. 우리나라 국민의 디지털 리터러시 역량 현주소
Ⅲ. 주요국의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 현황
Ⅳ. 우리의 준비
※ 작성 및 문의 : 디지털포용본부 지능정보윤리팀 주윤경 팀장(juyunkyung@nia.or.kr), 소유석 선임연구원(youseok@nia.or.kr)